표 5. | Table 5. 실현 위치, 과제, 성별, 세대에 따른 평균 들숨 동반 휴지 길이(단위: ms)와 다중 회귀 분석 결과(β, 예측값; t, t값) | Mean duration (ms) of pauses with breath for each place of pauses, speech style, gender and generation and statistical results from mixed effect regression model (β, estimated value; t, t score)
분류 | 소분류 | 평균 들숨 동반 휴 길이 (±표준 편차) | β | t |
실현 위치*** | 발화 내 | 573(±306) | –121.46 | –6.76 |
발화 말 | 685(±362) | | |
과제*** | 낭독 발화 | 565(±228) | –130.3 | –5.21 |
자유 발화 | 623(±351) | | |
성별** | 남성 | 689(±355) | 70.95 | –2.84 |
여성 | 558(±301) | | |
세대 | 청년 | 611(±324) | –5.75 | –0.23 |
장년 | 612(±339) | | |
p<0.01,
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