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6. | Table 6. 호흡 단위 내 평균 음절 수와 다중 회귀 분석 결과 | Mean number of syllables per breath group pauses and statistical results from mixed effect regression model
분류
소분류
호흡 단위 내 평균 음절 수 (±표준 편차)
β
t
-value
과제
낭독 발화
17.2 (±8.10)
–0.19
–0.34
자유 발화
17.0 (±11.7)
성별
남성
18.9 (±13.3)
2.35
4.21
***
여성
15.6 (±8.81)
세대
청년
18.7 (±12.1)
1.79
3.20
**
장년
15.6 (±9.94)
상호작용: 세대:성별
1.34
2.40
*
p
<0.5,
p
<0.01,
p
<0.001.
β, estimated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