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3. Speech cues 중재 프로그램 절차

시간 중재절차 세부계획
5분 사전평가 1)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평가를 실시한다.2) 목표 문항은 그림으로 제시되며 아동이 어휘를 모를 경우 따라 말하기로 실시한다. 이 외에 연구자는 어떠한 단서도 제공하지 않는다.3) 평가 목록은 기초선 단계에서의 평가목록과 같다(1−2음절 단어 10문항, 2어절 구로 이루어진 문장 5문항).
5분 Speech cues변별훈련 1) 연구자는 먼저 아동에게 사자 인형을 보여주며 ‘우리 같이 사자를 불러볼까?’하며 관심을 유도한다.2) 연구자가 시범을 보이며 먼저 입을 작게 벌려서 ‘사자야’를 산출하고, 아동에게 ‘내가 지금 입을 크게 벌린 것 같니?’질문한다.3) 아동이 ‘아니요’라고 답할 경우 연구자는 아동과 함께 다시 입을 크게 벌려서 ‘사자야’ 불러본다. 만약 아동이 적절하게 답하지 못할 경우 연구자가 직접 입을 크게 벌려 산출하며 ‘이게 입을 크게 벌린거야.’하고 알려준다.4) 이후 다음 ‘Strong voice’ 발화 유형으로 넘어가서 ‘사자야’를 약하게 말한 후 아동에게 ‘내가 지금 세게 말한 것 같니?’질문한다.5) 아동이 ‘아니요’라고 답할 경우 연구자는 아동과 함께 다시 세게 ‘사자야’ 불러본다. 만약 아동이 적절하게 답하지 못할 경우 연구자가 직접 세게 말하며 ‘이게 세게 말하는 거야’하고 알려준다.
10분 Big mouth발화훈련 1) 연구자는 기초선 단계와 동일하게 대상자에게 모니터 화면으로 최소대립쌍의 단어 그림을 제시하고, ‘Big mouth’유형에 따라 ‘이 그림의 이름을 입을 크게 벌려서 3번 말해주세요.’ 지시한다.2) 아동이 산출하지 못할 경우 시범(modeling)을 보이며 따라 말하기로 진행하고, 발화유형에 맞게 입을 크게 벌려 산출하지 못할 경우 그림단서를 제시한다. 이 외에 적절하게 산출할 경우 ‘그래’, ‘좋아’, ‘다음’ 등으로 반응한다.3) 이후 문장 그림을 제시하고 ‘선생님이 하는 말을 잘 듣고 입을 크게 벌려서 3번 따라 말해 주세요.’ 지시하며 단어수준에서와 같이 동일한 절차로 반복훈련을 실시한다.
10분 Strong voice발화훈련 1) ‘Big mouth’ 발화유형에서의 훈련이 끝나면 휴식시간을 갖고 ‘Strong voice’유형에서의 훈련을 실시한다.2) Praat을 실행하고 이어폰에 내장된 마이크를 연구자가 조절하여 아동의 입과 10 cm 거리를 둔 채로 시작하며, 아동이 세게 말했는지, 세게 말하지 못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진행하였다.3) ‘Big mouth’와 동일한 문항으로 진행하며, 단어 훈련 시 연구자는 ‘이 그림의 이름을 세게 3번 말해주세요,’ 지시하고, 문장 훈련 시 ‘선생님이 하는 말을 잘 듣고 세게 3번 따라 말해 주세요.’ 지시한다.4) 이 외에 ‘Big mouth’와 동일한 절차로 반복훈련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