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기준 | 1. 음운단어 내에서 인접한 다른 자음의 영향으로 같은 모양 혹은 일부 같은 자질로 바뀌었을 때 동화로 판단한다.2. 동화된 말소리가 다른 맥락에서 정조음한 예를 확인하여 동화로 판단한다. |
초성 분석 기준 | 두 가지의 조건 중 충족하면 해당 음소를 산출하는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인접 음소의 영향을 받아 동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 1) 후행하는 모음과 동일한 모음 환경의 다른 단어에서 정조음 한 증거가 있을 때 동화로 판단한다. |
2) 동일한 모음 조건이 없는 경우, 해당 음소가 다른 2가지 모음 환경의 다른 단어에서 정조음 한 증거가 있을 때 동화로 판단한다. 이때 발성유형에 따라서는 나누지 않으며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이 동일한 자음의 모음 문맥을 살펴보아 판단한다. |
오조음이어도 일관된 경향이 있다면 그 경향과 달리 나타난 현상은 동화로 판단한다. |
종성 분석 기준 | 상대적으로 분석 알고리즘이 명확한 어중종성역행동화의 경우 우선적으로 역행동화로 분석한다. |
어중종성생략과 혼동되는 경우, 다른 단어에서 해당 음소가 어말종성과 어중종성을 합쳐 2회 이상 목표 종성을 산출하면 종성 산출의 어려움이 아닌 어중종성역행동화라고 분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