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ech Disorders/말장애

Perceptions of military personnel towards stuttering and persons who stutter: Using the 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Stuttering (POSHA-S)

차화정1, 박진1,*
Hwajung Cha1, Jin Park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가톨릭관동대학교 언어재활학과
1Department of Speech Language Rehabilitation,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Korea
*Corresponding author : gatorade70@cku.ac.kr

© Copyright 2024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May 15, 2024; Revised: Jun 10, 2024; Accepted: Jun 10, 2024

Published Online: Jun 30, 2024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POSHA-S(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stuttering; St. Louis)를 이용하여 직업군인의 말더듬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조사하였다. 총67명의 직업군인(남자: 58명, 여자: 9명, 영관급 장교: 11명, 부사관: 56명, 평균나이: 31.9세, 표준편차: 8.7)이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t. Louis가 제시한 방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직업군인의 인식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문화권, 국가, 집단의 230개의 표본수, 총 20,941명(2023년 6월 기준)의 대상자의 답변으로 구축된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해 상대적인 백분위수(%ile)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말더듬 점수가 7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14%ile에 해당되었다. 또한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 하위점수가 –11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8%ile에 해당되었다. 직업군인의 말더듬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말더듬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군대 내, 특히 지휘관으로서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한 인식 개선 교육이나 관련 프로그램 수행이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military personnel toward stuttering and persons who stutter (PWS) using the 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 of -Stuttering (POSHA-S). A total of 67 military personnel participated in the study (male: 58, female: 9, commissioned officers: 11, non-commissioned officers: 56, with an average age of 31.9 years and a standard deviation of 8.7),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provided by St. Lou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military personnel toward stuttering and PWS, percentile ranks (%iles) relative to the global POSHA-S database, which were constructed from responses from a total of 20,941 participants from various cultural regions, countries, and groups (as of June 2023), were retrieved.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stuttering score for military personnel was 7, corresponding to the 14 percentile in the POSHA-S database. In addition, the sub-score for ' self- reactions to PWS' was -11 (8 percentile in the POSHA-S database). These results revealed that military personnel hold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stuttering and PWS, overall. These finding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the lack of accurate information among military personnel, suggesting a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mainly aimed at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stuttering and PWS within the military.

Keywords: stuttering; persons who stutter (PWS); 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stuttering (POSHA-S); military personnel; stereotyping; attitudes
Keywords: 말더듬; 말을 더듬는 사람; POSHA-S(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Stuttering); 직업군인; 고정관념; 태도

1. 서론

말더듬은 전형적인 유창성장애로 반복, 말소리 연장, 막힘과 같은 비유창성으로, 구어를 통한 정보의 전달이나 흐름이 원활하지 않는 장애이다(Lee, 2005; van Riper, 1982). 주로 비유창성 문제로 나타나는 구어 행동뿐 아니라 눈 깜박임, 눈 찡그리기, 혀로 입술 핥기 등과 같은 탈출행동이 나타나기도 한다. 나아가 말을 더듬는 사람은 말을 더듬을 것 같은 특정 상황(예, 전화나 발표 상황)이나 대상(예, 윗사람이나 이성)을 의도적으로 회피하기도 한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관련된 잦은 실패의 경험으로 부정적인 자아관이 형성되면서 결국에는 대인 관계나 사회적 활동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Craig et al., 2009; Logan & O'Connor, 2012; Yaruss & Quesal, 2004).

말더듬으로 인한 사회 활동 및 참여 제한은 말을 더듬는 사람 자신은 물론이고, 나아가 이들에 대한 일반대중의 인식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한다. 예를 들면, 말을 더듬는 사람은 수동적이며, 예민하고, 불안하며, 수줍음이 많으며, 초조해한다는 인식이다(Doody et al., 1993; Woods, 1978; Woods & Williams, 1976). 이러한 고정적 인식이나 편견들은 거의 모든 문화권에서(Abdalla & St. Louis, 2012; Al-Khaledi et al., 2009; Bebout & Arthur, 1992; Ip et al., 2012; Lee & St. Louis, 2014; Przepiorka et al., 2013), 아동(Betz et al., 2008; Langevin et al., 2009; Pachigar et al., 2011), 청소년(Blood & Blood, 2004), 성인(Hurst & Cooper, 1983a, 1983b)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연령층에서, 교사(Lass et al., 1992, 1994; Lee, 2013; Woods & Williams, 1976), 언어재활사(Daniels et al., 2012; Doody et al., 1993), 고용주(Hurst & Cooper, 1983b), 직업상담사(Hurst & Cooper, 1983a; Park et al., 2016) 등 비교적 다양한 대상자들에게서 일관적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일반대중의 부정적 인식은 말을 더듬는 개인의 일상에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영향을 준다. 놀림이나 따돌림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Blood & Blood, 2004), 능력보다 낮은 평가를 받기도 하며(Abdalla & St. Louis, 2012; Silverman & Paynter, 1990), 직업 선택의 제한성을 경험하며(Logan & O'Connor, 2012; Park et al., 2020), 심지어는 이성 교제나 결혼과 같은 ‘낭만적’(romantic) 관계 형성에서도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Klompas & Ross, 2004; van Borsel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말을 더듬는 사람들의 또 하나의 사회적 관계 형성 집단인 군대와 관련해 군지휘관들이 말더듬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군 생활은 일정 기간 사회와의 단절로 인한 폐쇄적인 생활을 의미하는 것으로, 군대는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욕구의 충족보다는 집단 구성원 간의 협동 내지는 응집력, 또는 의사소통 역량이 더 중요시되는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Kim & Kim, 2014). 군대라는 환경적 변화에 말을 더듬는 사람이 잘 적응하여 성공적인 군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관으로서 이들을 지휘하거나 통솔하는 위치에 있는 지휘관들이 말더듬이나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해 어떤 신념이나 조망을 가지는가가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만약 지휘관들이 부정적인 인식을 지닐 경우, 이로 인해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인 ‘부정 반응’(negative reaction, Boyle, 2013)을 보이게 된다면 결국 말을 더듬는 사람이 성공적인 군 생활을 지속할 가능성은 그만큼 낮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최근 전미말더듬협회(The National Stuttering Association, NSA, n.d.)에서 제작한 ‘말더듬과 군대’(Stuttering & the Military) 책자에서는 말을 더듬는 군인들이 소극적이고, 구두를 통한 내용 전달에 있어 자신감이 떨어지며, 초조하거나 좀 더 긴장한다는 인식으로 이들의 능력이 낮게 평가될 우려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말더듬은 실제적으로 정서적, 감정적 문제를 크게 초래하지 않으며, 비록 완치가 어렵더라도 언어치료센터나 관련 지원기관에서 제공되는 도움을 통해 원만하게 군 생활을 지속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Rosenthal & Naylor(1968)가 35명의 말을 더듬는 군인들의 직무 수행, 승진 기록, 징계 기록을 고찰한 결과, 말을 더듬지 않는 군인들과 비교해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비록 적은 수의 표본이지만 말을 더듬는 군인들이 업무를 적절하게 수행하였으며, 이들의 직무 수행에 있어 말더듬이 유의하게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군 생활 적응 정도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Park & Park(2023)은 총 89명의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비유창성 정도에 따른 음성샘플(즉, 유창한 화자의 발화, 덜 심한 말더듬 화자의 발화, 심한 말더듬 화자의 발화)을 들려주었고, 대상자로 하여금 각각의 음성 샘플 화자의 예상되는 군 생활 적응 정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심한 말더듬 화자’ 상황에서 (예상되는) 군 생활 적응 정도 평가가 낮게 나타났으며, ‘심한 말더듬 화자’ 상황은 ‘유창한 화자’ 및 ‘덜 심한 말더듬 화자’ 상황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발화의 비유창성 정도가 심할수록 군 생활 적응이 좀 더 어려울 수 있다는 예측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군지휘관을 대상으로 말더듬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간 특성에 대한 대중 인식 설문지-말더듬’(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Stuttering, POSHA-S, St. Louis, 2012a)을 이용하였다. POSHA-S는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일반대중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개발되어 최근까지 사용되고 있는 설문 도구 중 하나이다(Ma et al., 2024). 1999년에 개발된 이후 여러 번의 수정 절차를 통해 완성되었으며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구성타당도와 공인타당도가 입증되었다(St. Louis, 2012a, 2012b; St. Louis et al., 2009). 2023년 6월 기준으로 다양한 문화권, 국가, 집단을 대상으로 230개 조사 표본수의 총 20,941명의 대상자 답변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다. 전체 말더듬 점수(overall stuttering score, OSS), 3개의 하위점수(subscore), 각 하위점수에 포함된 11개의 구성요소(components), 각 구성요소에 포함된 45개의 세부문항(items) 등을 포함하여 총 6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특정 결과 간의 인식 정도에 대한 수량적 비교가 가능하며(Ma et al., 2024; Przepiorka et al., 2013), 지면이나 온라인 설문 방식의 차이와 상관없이(St. Louis, 2012a), 그리고 25~50명의 비교적 적은 수의 표본을 통해서도 수행 및 결과 분석이 가능하다(St. Louis, 2008).

현재까지 POSHA-S를 통한 여러 문화권, 국가, 집단에 대한 말더듬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인식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인식 양상에 있어 사뭇 다른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했을 때 좀 더 부정적이거나(Abdalla & St. Louis, 2012; Ip et al., 2012; Katebe, 2019) 또는 긍정적인 인식 결과가 나타났다(Lefort et al., 2021; St. Louis & Roberts, 2010; Weidner et al., 2017). 주로 아시아나 아프리카 문화권의 대상자인 경우에는 부정적인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북미지역이나 호주의 대상자의 경우에는 부정적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Ma et al.(2024)은 북미지역과 중국의 대학생 총 199명을 대상으로 POSHA-S를 통해 조사한 결과, 중국 대학생들은 말더듬과 관련된 구성요소 중 ‘원인’, ‘수용/도움’, ‘사회적 거리/연민’, ‘지식/경험’에서 유의하게 높은 부정적 인식을 보였다. 또한 POSHA-S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에서도 중국 대학생들이 북미지역 대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부정적 인식을 보이는 항목들이 더 많았다. 즉, 전체 60개 항목 중 중국 대학생들은 27개(45%), 북미지역 대학생들은 2개 항목(3%)에서 더 높은 부정적 인식을 보였다. 국내에서도 Lee & St. Louis (2014)가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한 결과,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했을 때 좀 더 높은 부정적 인식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말더듬과 연관된 구성요소 중 ‘특성/성격’, ‘지식의 출처’ 두 항목을 제외한 6개 항목에서 더욱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Han(2015)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경험 유무와 친숙도에 따른 인식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는데, 연구 결과, 대상 아동들은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신념’과 관련된 4개의 구성요소 중 ‘원인’과 ‘도움의 출처’에서 좀 더 높은 부정적 인식을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 양상은 말더듬 경험 유무나 친숙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직업군인들을 대상으로 말더듬이나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에 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며, 이와 관련된 해외 연구도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POSHA-S를 통해 주로 일반병사를 통솔하거나 지휘하는 위치의 영관급 장교나 부사관을 포함한 직업군인들이 말더듬이나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어떠한 인식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직업군인의 인식이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였을 때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 참여한 직업군인의 전체 말더듬 점수는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 참여한 직업군인의 말더듬 관련 하위점수는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 참여한 직업군인의 구성요소 점수는 차이를 보이는가? 마지막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 참여한 직업군인의 세부문항 점수는 차이를 보이는가?

2. 연구방법

2.1. 설문대상

본 연구는 총 67명의 직업군인(남자: 58명, 여자: 9명, 영관급 장교: 11명, 부사관: 56명, 평균나이: 31.9세, 표준편차: 8.7)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자는 모두 현재 군 복무 중이며 일반병사를 지휘, 통솔하는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지휘관(즉, 영관급 장교를 포함한 부사관급 이상의 직업군인)이다. 대상자 모집 방법은 사전에 제작한 연구 홍보물을 이용하거나,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를 통한 소개 방식(mouth-to-mouth)으로 수행하였다. 기본적으로 연구대상자에 대해 육군, 해군, 공군 등의 소속이나 성별을 구별하지 않았으며, 장기복무자 뿐만 아니라 의무복무를 거쳐 제대할 예정인 단기 간부의 경우도 포함하였다. 구체적인 선정기준으로는 1) 일반병사를 지휘한 업무 수행의 경험이 있는 영관급 장교와 부사관급 이상의 직업군인이고, 2)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며, 3) 정상적인 시력과 읽기 이해력을 가지고 있으며, 4) 말-언어장애가 없으며, 특히 본인이 말을 더듬는 사람이 아닌 경우만을 포함하였다. 표 1은 연구대상자로 참여한 직업군인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표 1. | Table 1. 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대상자의 POSHA-S 평균,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중앙값(50th percentile), POSHA-S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한 백분위수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OSHA-S mean ratings of the respondents, median values from the POSHA-S database samples, and percentiles of those means relative the POSHA-S database
Demographic variable Respondents Database median (50th percentile) Sample percentile
Number of sample 67 60 60
Age: mean (yr) 31.9 36.9 43
Total schooling: mean (yr) 14.5 14.3 44
Sex: males / females (% total) 88 / 12 37 / 63 99 / 0
Student (% total) 0 16 0
Working (% total) 100 63 89
Unemployed or not working (% total) 0 6 0
Retired (% total) 0 3 0
Married (% of total) 48 53 50
Parent (% of total) 42 49 52
Korean as native language (% total) 100 - -
Self-identification (% responding)
 Multilingual 4.5 52.9 9
 Stuttering 0.0 0.3 0
 Mentally ill 0.0 1.2 0
 Obese 6.0 6.7 48
 Left handed 7.5 7.7 45
 Intelligent 3.0 26.0 2
No persons known (% responding)
 Stuttering 52.2 29.9 93
 Mentally ill 41.8 26.4 74
 Obese 13.4 8.1 71
 Left handed 7.5 6.6 69
 Intelligent 7.5 2.1 86
Self-ratings for health and ability (mean: –100 to +100)
 Physical health 39 42 30
 Mental health 46 55 27
 Ability to learn 46 57 19
 Speaking ability 36 62 7
Self-ratings for life priorities (mean: –100 to +100)
 Be safe / secure 72 82 19
 Be free 62 64 33
 Spend time alone 46 39 61
 Attend social events 34 11 85
 Imagine new things 43 33 69
 Help less fortunate 53 53 55
 Have exciting by potentially dangerous experiences 2 –16 76
 Practice my religion –15 26 21
 Earn money 68 60 75
 Do job / duty 61 76 14
 Get things done 67 76 28
 Solve big problems 69 72 41
Completion time: mean (min) 16.8 11.0 85

POSHA-S, 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Stuttering.

Download Excel Table
2.2. 설문도구: 인간 특성에 대한 대중 인식 설문지-말더듬 (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Stuttering, POSHA-S)

POSHA-S(St. Louis, 2012a)는 말더듬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일반대중의 인식이나 신념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설문도구로써, 대상자가 직접 문항을 읽고 답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먼저 설문 목적과 설문 내용에 대한 설명과 함께 대상자의 연령, 성별, 결혼 유무, 최종 학력 등과 같은 기본 정보에 대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대상자의 현재 상황 및 성향에 관련된 문항들(예, 가족의 연 소득 수준, 삶의 각 측면의 우선순위 정도 등)과 다양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즉, 말더듬, 정신질환, 비만, 왼손잡이, 지적인 사람)과 말더듬과 관련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말더듬 관련 문항들은 2개의 하위점수(subscore) 체계로 되어 있는데,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인지적인 측면을 알아보는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신념’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정서적/행동적인 측면을 알아보는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이다. 또한 각 하위점수 체계에는 4개의 구성요소(components)가 있는데, 전자는 ‘특성/성격’, ‘도움의 출처’, ‘원인’, ‘가능성’, 후자는 ‘수용/도움’, ‘사회적 거리/연민’, ‘지식/경험’, ‘지식의 출처’가 포함되어 있다. 나아가 각 구성요소와 관련된 여러 세부문항(items)들이 포함되어 있다(예, ‘수줍어하거나 두려워한다’, ‘신경질적이고 흥분을 잘한다’). 말더듬 관련 두 하위점수의 평균을 통해, 전체 말더듬 점수(OSS)를 산출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말더듬이나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임을, 낮을수록 부정적임을 의미한다. 연구대상자는 각 항목에 대하여 예/아니오, 또는 5점 척도(예, 매우 나쁨, 나쁨, 평균, 좋음, 매우 좋음) 등으로 답하게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SHA-S의 한국어 번역본(Chon, 2016)을 사용하였다.

2.3. 설문방식

본 연구는 코로나 19상황을 고려해 구글 폼(google form)에서 설문에 응답하는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연구자가 유선이나 이메일을 통해 대상자에게 본 연구에 대하여 상세하고 충분하게 설명을 제공하고, 이후 (대상자가) 참가동의서를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POSHA-S를 수행하기 전에 사전 질문지를 통해 대상자의 소속, 계급, 복무기간 등과 같은 군 관련 정보와 본인의 말더듬과 가족력 유무를 조사하였다. 이후 대상자에게 POSHA-S 설문지를 제공해 답변하도록 하였다.

2.4. 분석방법

결과 분석은 기본적으로 St. Louis(2012a, 2012b)가 제시한 방식대로 수행하였다. POSHA-S의 문항들은 각 척도를 –100점에서 +100점으로 변환한 후 분석을 하였다. 즉, ‘1~5점’척도로 답하는 문항들은 분석 시 1점은 –100점으로, 2점은 –50점으로, 3점은 0점으로, 4점은 +50점으로, 5점은 +100점으로 변환하였다. ‘-2점∼+2점’ 척도 문항들은 –2점은 –100점, –1점은 –50점, 0점은 0점, +1점은+50점, +2점은 +100점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말더듬과 관련하여 대상자의 의견을 묻는 문항들은 일괄적으로 ‘예, 아니오, 잘 모르겠음’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답하게 되어있는데, 우선 ‘아니오’는 1로, ‘잘 모르겠음’은 2로, ‘예’는 3으로 코딩하고, 1은 –100점으로, 2는 0점으로, 3은 +100점으로 변환하였다. 역변환 문항들의 경우(예, ‘말을 더듬는 사람은 수줍어하거나 두려워한다’), 1은 +100점으로, 2는 0점으로, 3은 –100점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각 문항의 변환된 점수를 통해 45개의 세부문항, 11개의 구성요소, 3개의 하위점수, 전체 말더듬 점수를 포함한 총 60개의 항목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구성요소 점수는 (각 구성요소에) 포함된 세부문항들의 변환점수의 평균을 통해, 하위점수는 (각 하위점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변환점수의 평균을 통해,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체 말더듬 점수는 두 개의 말더듬 관련 하위점수인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신념’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의 평균을 통해 산출하였다. 또한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분석을 위해, 각 항목의 평균치(mean ratings)의 POSHA-S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의미하는 백분위수(%ile, percentile ranks)를 산출하였다. 백분위수가 POSHA-S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2~3사분위일 경우에는 인식 정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1사분위나 4사분위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좀 더 부정적이거나 또는 긍정적(덜 부정적)인 결과로 해석하였다(Ma et al., 2024; Przepiorka et al., 2013).

3. 연구결과

3.1.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전체 말더듬 점수와 하위점수

표 2는 전체 말더듬 점수, 하위점수, 구성요소, 세부문항을 포함한 총 60개 항목에 대한 평균값과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중간값(50%ile), 그리고 이를 기준으로 했을 때 상대적인 백분위수(percentile)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1은 3개의 하위점수, 11개의 구성요소 점수를 방사형 그래프로 보여주고 있다. 그림 2는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신념’, 그림 3은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의 각 세부문항의 평균값을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최소값, 중간값, 최대값과 비교해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지휘관으로서 직업군인의 전체 말더듬 점수(OSS)는 7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점수(18점)에 비해 낮은 점수로 14%ile에 해당되었다. 또한 말더듬 관련 2개의 하위점수(subscores)에 있어서도 전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먼저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이 –11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 점수(3점)에 비해 낮으며 8%ile에 해당되었다.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신념’은 26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점수(33점)보다 낮으며 29%ile에 해당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직업군인의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부정적임을 보여주는 결과로 판단된다.

표 2. | Table 2. 각 항목에 대한 평균값,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중간값(50%ile), POSHA-S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한 백분위수 | POSHA-S mean ratings of Korean respondents, median values from the POSHA-S database samples), and percentiles of those means relative to the POSHA-S database
POSHA-S variable Korean respondents Database median (50th percentile) Korean sample percentile
OVERALL STUTTERING SCORE 7 18 14
Beliefs about people who stutter 26 33 29
Traits / personality 30 21 63
 Have themselves to blamea 75 84 34
 Nervous or excitablea 31 –3 78
 Shy or fearfula –15 –17 49
Stuttering should be helped by . . . –1 16 10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 79 95 15
 Other people who stutter –34 –4 17
 Medical doctora –49 –39 31
Stuttering is caused by . . . 35 33 47
 Generic inheritance 39 18 72
 Learning or habita 0 26 27
 A very frightening eventa –7 –2 42
 An act of Goda 75 62 62
 A virus or diseasea 19 39 15
 Ghosts, demons, spiritsa 82 90 27
Potential 39 67 5
 Can make friends 69 93 9
 Can lead normal lives 70 89 12
 Can do any job they want 37 54 32
 Should have jobs requiring good judgment –21 42 2
Self-reactions to people who stutter –11 3 8
Accommodating / helping 31 44 21
 Try to act like the person was talking normally 63 84 14
 Person like me –12 –29 60
 Fill in the person’s wordsa 49 35 60
 Tell the person to “slow down” or “relax”a –58 13 8
 Make joke about stutteringa 91 90 49
 Should try to hide their stutteringa 54 76 16
Social distance / sympathy 8 19 40
 Fell comfortable or relaxed 37 37 50
 Feel pitya 70 16 93
 Feel impatient (not want to wait while the person stutters)a 76 63 69
 Concern about my doctora –24 46 7
 Concern about my neighbora 34 77 22
 Concern about my brother or sistera –22 7 34
 Concern about mea –42 –32 44
 Impression of person who stutters 1 2 36
 Want to have stuttering –60 –65 75
Knowledge / experience –49 –34 14
 Amount known about stuttering –25 –31 50
 Stutterers known –91 –86 12
 Personal experience (me, my family, friends) –31 18 9
Knowledge source –35 –11 7
 Television, radio, films –9 12 28
 Magazines, newspapers, books –45 –14 15
 Internet –22 –27 36
 School –40 –8 11
 Doctors, nurses, other specialists –60 –31 15
Obesity / mental illness subscore –41 –35 23
Overall impression –20 –15 30
 Obese –13 –20 59
 Mentally ill –26 –8 19
Want to be –70 –79 85
 Obese –69 –79 85
 Mentally ill –71 –80 85
Amount known about –33 –9 10
 Obese –15 3 18
 Mentally ill –51 –18 6

a The signs of the mean ratings for this item are reversed so that higher scores reflect “better” attitudes and lower scores, “worse” attitudes.

POSHA-S, 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Stuttering.

Download Excel Table
pss-16-2-71-g1
그림 1. | Figure 1. 3개의 하위점수, 11개의 구성요소 점수를 나타낸 방사형 그래프 | Summary of the POSHA-S radial graph for the samples of military personnel in comparison to the lowest, median, highest scores in the POSHA-S database (Circa June 2023) POSHA-S, 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Stuttering.
Download Original Figure
pss-16-2-71-g2
그림 2. | Figure 2.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최소값, 최대값, 중간값과 비교한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신념’ 세부문항의 평균값 | Individual items in the beliefs about people who stutter subscore in comparison with the lowest, median, highest scores in the POSHA-S database POSHA-S, 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Stuttering.
Download Original Figure
pss-16-2-71-g3
그림 3. | Figure 3.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최소값, 최대값, 중간값과 비교한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 세부문항의 평균값 | Individual items in the self reaction to people who stutter subscore in comparison with the lowest, median, highest scores in the POSHA-S database POSHA-S, 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Stuttering.
Download Original Figure
3.2.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구성요소와 세부문항

말더듬 관련 하위점수 체계인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신념’의 4개의 구성요소 중 ‘도움의 출처’가 –1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점수(16점)보다 낮으며 10%ile에 해당되었다. 또한 ‘가능성’의 경우에는 39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점수(67점)보다 낮으며 5%ile에 해당되었다. ‘도움의 출처’와 ‘가능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부정적 인식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 다른 하위점수 체계인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의 구성요소에서는 ‘수용/도움’이 31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점수(44점)보다 낮으며 21%ile에 해당되었다. ‘지식/경험’은 –49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점수(–34점)보다 낮으며 14%ile에 해당되었다. ‘지식의 출처’는 –35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점수(−11점)보다 낮으며 7%ile에 해당되었다. ‘수용/도움’, ‘지식/경험’, ‘지식의 출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부정적 인식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움의 출처’의 세부문항에서 ‘언어재활사’가 79점으로 15%ile, ‘말을 더듬는 다른 사람들’은 –34점으로 17%ile을 나타났다. 이는 ‘도움의 출처’로서 언어재활사나 말을 더듬는 다른 사람에 대한 낮은 인식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원인’의 세부문항으로 ‘바이러스나 질병’이 19점으로 15%ile에 해당되어 말더듬의 원인을 바이러스나 질병이라는 부정확한 인식을 보였다. ‘가능성’의 세부문항으로 ‘친구를 사귈 수 있다’는 69점으로 9%ile, ‘평범한 삶을 살 수 있다’는 70점으로 12%ile, ‘그들이 중요한 사항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결정해야 하는 곳에서 일해야 한다’는 –21점으로 2%ile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말을 더듬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이나 직장 및 대인 관계에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수용/도움’의 세부문항으로 ‘그 사람에게 “천천히” 말하거나, “긴장을 풀라”고 말할 것이다’가 –58점으로 8%ile, ‘그들의 말더듬을 숨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54점으로 16%ile로 나타났다. 말을 더듬는 사람에게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와 관련해 부적절한 행동적 반응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높은 백분위수를 보이는 세부문항들도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특성/성격’에서 ‘말을 더듬는 사람은 신경질적이거나 흥분을 잘한다’는 31점으로 78%ile을 보였으며, ‘사회적 거리/연민’에서 ‘그 사람을 불쌍히 여길 것이다’가 70점으로 93%ile을 보였다. 이는 각 세부문항에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4.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POSHA-S를 통해 일반병사의 지휘관으로서 직업군인의 말더듬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직업군인들은 낮거나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전반적 인식 점수인 전체 말더듬 점수(OSS)가 7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18점)와 비교했을 때 낮으며 14%ile에 해당되었다. 또한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신념’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의 말더듬 관련 2개의 하위점수가 각각 26점과 –11점으로, 29%ile과 8%ile로 나타났다. 또한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신념’의 구성요소 중 ‘도움의 출처’와 ‘가능성’,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의 구성요소 중에서는 ‘수용/도움’, ‘지식/경험’, ‘지식의 출처’의 백분위수가 1사분위에 속해 상대적으로 높은 부정적 인식이 나타냈다. 나아가 다수의 세부문항에서도 낮은 점수와 백분위수를 보여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주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한 주요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직업군인의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서 기술한 것처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정도를 나타내는 전체 말더듬 점수(OSS)가 7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점수(18점)보다 낮으며 14%ile에 해당되었다. 또한 전체 말더듬 점수, 하위점수, 구성요소, 세부문항을 포함한 총 60개의 항목 중 28개(47%)가 POSHA-S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제1사분위에 속하는 낮은 백분위수를 보였다. 반면, 5개(8%)의 항목만이 제4사분위에 속하였다. 이렇게 1사분위에 상대적으로 치우친 분포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부정적 인식을 보고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말더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Ip et al. (2012)에서는 31개(51%)가 1사분위, 9개(16%)가 4사분위에 분포하였다. 또한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Ma et al.(2024)에서는 27개(45%)가 1사분위, 8개(13%)가 4사분위에 분포하였다. 반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인식 결과가 나타난 북미지역 대학생의 경우에는 단 2개(3%)만 1사분위, 40개(67%)는 4사분위에 분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결국 본 연구에 참여한 직업군인들은 전반적으로 말더듬이나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2개의 말더듬 관련 하위점수인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신념’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의 결과가 사뭇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전자는 POSHA-S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했을 때 29%ile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결과로, 반면 후자는 8%ile로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주는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방법에서 기술한 것처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신념’은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인지적인 측면,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은 정서적 또는 행동적 측면을 나타낸다. 한마디로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행동적 측면 간의 인식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 참여한 직업군인의 경우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이는 말을 더듬는 사람들을 어떻게 수용하며, (이들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부적절한 의견이나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개인적 경험이나 지식의 부족으로 인한 결과로 파악된다. 말더듬이나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군대 내 교육 프로그램 수행이 필요한 이유일 것이다.

셋째, 말더듬 관련 구성요소 중 ‘가능성’의 점수가 39점으로, POSHA-S 데이터베이스의 5%ile로 나타나 높은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관련된 세부문항으로 ‘친구를 사귈 수 있다’, ‘평범한 삶을 살 수 있다’, ‘중요한 사항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결정해야 하는 곳에서 일해야 한다’가 각각 69점, 70점, –21점(각각 9%ile, 12%ile, 2%ile에 해당)으로, 높은 부정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서론에서 기술한 것처럼, 군 생활이 임무 달성을 위해 협동심이나 응집력, 의사소통 역량, 결단력 등이 중요시되는 집단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직업군인이) 말을 더듬는 사람의 군 생활 적응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인식을 보일 수 있다는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Park & Park, 2023). 또한 ‘원인’의 관련 세부문항으로 ‘바이러스나 질병’이 19점으로(15%ile에 해당), 직업군인이 말더듬 원인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용/도움’의 세부문항에서도 ‘그 사람이 정상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는 것처럼 행동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그 사람에게 “천천히” 말하거나, “긴장을 풀라”고 말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말더듬을 숨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가 각각 63점, –58점, 54점(각각 14%ile, 8%ile, 16%ile에 해당)으로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자기반응으로 적절하지 않는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특징, 증상, 원인 등을 포함한 말더듬에 대한 기본 내용 뿐 아니라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해 정서적인, 행동적인 측면에서의 적절한 반응 방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도움의 출처’의 세부문항인 ‘언어재활사’의 점수가 79점(15%ile에 해당)으로, 이는 말을 더듬는 사람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상으로서 언어재활사에 대한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말더듬을 포함한 다양한 의사소통장애 중재전문가로서 언어재활사라는 직업에 대한 인식 개선이나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몇 가지 가능한 향후 연구를 기술하자면, 먼저는 말더듬 관련 사전 지식의 정도나 말을 더듬는 일반사병에 대한 경험의 유무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말더듬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경험 유무에 상관없이 부정적인 인식이 나타났다는 이전 연구들의(Abdalla & St. Louis, 2012; Allard & Williams, 2008; Han, 2015) 결과가 동일하게 직업군인들에게도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말을 더듬는 일반사병에 대한 경험이 있는 직업군인들을 대상으로 관련된 경험이나 느낌, 생각 등에 대한 개인적 진술을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도 진행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가상의(hypothetical)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선험적인’ 인식이 아닌 개인적 경험이나 구체적인 사건을 통해 갖게 된 ‘실증적인’ 생각이나 느낌을 공유하는 인식 관련 사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위에서 제안하였듯이, 군대 내 특히 직업군인들을 대상으로 말더듬의 증상, 원인, 특징 등을 포함한 기본 교육 뿐 아니라 군대 내 말을 더듬는 일반사병과의 적절한 소통 방식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장애전문가로서 언어재활사 뿐 아니라 여러 관련 전문가들의 협업을 통한 교육 프로토콜이 마련되길 희망해본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육군, 해군, 공군 등 소속의 구별을 두지 않았음에도 실제 육군 소속의 직업군인들만 대상자로 참여했다는 제한점을 고려해 향후 연구에서는 모든 소속의 대상자를 포함해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좀 더 제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일반병사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가 발생하는지도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가 말을 더듬는 사람에 대한 군대 내에서의 인식 개선 도모는 물론 장기적으로 이들이 경험할 수 있는 군 생활 적응의 어려움이나 불평등의 최소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토대가 되길 기대해 본다.

감사의 글

본 연구의 대상자로 참여해주신 모든 직업군인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References

1.

Abdalla, F. A., & St. Louis, K. O. (2012). Arab school teachers' knowledge, beliefs and reactions regarding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7(1), 54-69.

2.

Al-Khaledi, M., Lincoln, M., McCabe, P., Packman, A., & Alshatti, T. (2009). The attitudes, knowledge and beliefs of Arab parents in Kuwait about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4(1), 44-59.

3.

Allard, E. R., & Williams, D. F. (2008). Listeners’ perceptions of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41, 108-123.

4.

Betz, I. R., Blood, G. W., & Blood, I. M. (2008).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pre-school and kindergarten children who stutter.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41(3), 259-273.

5.

Blood, G. W., & Blood, I. M. (2004). Bullying in adolescents who stutte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self-esteem. Contemporary Issues in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31(Spring), 69-79.

6.

Boyle, M. P. (2013). Assessment of stigma associated with stutteri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elf-stigma of stuttering scale (4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6(5), 1517-1529.

7.

Chon, H. (2016). Beliefs and knowledge of the public about people who stutter: Age and sex comparison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3), 538-551.

8.

Craig, A., Blumgart, E., & Tran, Y. (2009). The impact of stuttering on the quality of life in adults who stutter.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4(2), 61-71.

9.

Daniels, D. E., Gabel, R. M., & Hughes, S. (2012). Recounting the K-12 school experiences of adults who stutter: A qualitative analysis.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7(2), 71-82.

10.

Doody, I., Kalinowski, J., Armson, J., & Stuart, A. (1993). Stereotypes of stutterers and nonstutterers in three rural communities in Newfoundland.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18(4), 363-373.

11.

Han, M. A. (2015). Stuttering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POSHA-S (public opinion survey of human attributes-stuttering) (Master thesis). Catholic University, Daegu, Korea.

12.

Hurst, M. A., & Cooper, E. B. (1983a).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attitudes toward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8(1), 13-27.

13.

Hurst, M. I., & Cooper, E. B. (1983b). Employer attitudes toward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8(1), 1-12.

14.

Ip, M. L., St. Louis, K. O., Myers, F. L., & Xue, S. A. (2012). Stuttering attitudes in Hong Kong and adjacent Mainland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4(6), 543-556.

15.

Katebe. B. (2019). Beliefs and Attitudes of Zambian Teachers toward Stuttering and Students who Stutter in Selected Schools: A Mixed Methods Investigation. A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Louisiana.

16.

Kim, O. R., & Kim, W. I.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s of military life adjustment scale for military soldier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5(4), 1627-1646.

17.

Klompas, M., & Ross, E. (2004). Life experiences of people who stutter, and the perceived impact of stuttering on quality of life: Personal accounts of South African individuals.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9(4), 275-305.

18.

Langevin, M., Packman, A., & Onslow, M. (2009). Peer responses to stuttering in the preschool setting.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8(3), 264-276.

19.

Lass, N. J., Ruscello, D. M., Schmitt, J. F., Pannbacker, M. D., Orlando, M. B., Dean, K. A., Ruziska, J. C., ... Bradshaw, K. H. (1992). Teachers’perceptions of stutterer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23(1), 78-81.

20.

Lee, K. (2013). Perception toward stuttering by teachers in Daegu are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4), 447-458.

21.

Lee, K., & St. Louis, K. O. (2014, May). Prim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stuttering using POSHA-S. Proceedings from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Busan, Korea.

22.

Lee, S. W. (2005). Fluency disorders. Seoul, Korea: Sigma Press.

23.

Lefort, M. K. R., Erickson, S., Block, S., Carey, B., & St. Louis, K. O. (2021). Australian attitudes towards stuttering: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69, 105865.

24.

Logan, K. J., & O’Connor, E. M. (2012).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advice for speakers who do and do not stutter.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7(1), 25-41.

25.

Ma, Y., Mason, E. M., McGinn, E. M., Parker, J., Oxley, J. D., & St. Louis, K. O. (2024). Attitudes toward stuttering of college students in the USA and China: A cross-cultural comparison using the POSHA-S.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79, 106037.

26.

Pachigar, V., Stansfield, J., & Goldbart, J. (2011). Beliefs and attitudes of primary school teachers in Mumbai, India towards children who stu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58(3), 287-302.

27.

Park, H., & Park, J. (2023). Perception of military officers towards the military adaptation of adults who stutt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5(1), 55-64.

28.

Park, H., Park, S., & Park, J. (2020). Perceptions of vocational counselors and their career advice for individuals who stutter.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6(2), 147-156.

29.

Przepiorka, A. M., Blachnio, A., St. Louis, K. O., & Wozniak, T. (2013). Public attitudes toward stuttering in Po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48(6), 703-714.

30.

Rosenthal, W. S., & Naylor, R. V. (1968). Clinical investigations of stuttering: Part 1. adjustment and effectiveness of stutterers in military service. Research Report of U.S. Army 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Command. Washington, DC.

31.

Silverman, F. H., & Paynter, K. K. (1990). Impact of stuttering on perception of occupational competence.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15(2), 87-91.

32.

St. Louis, K. O. (2008, November). Surveying public attitudes toward stuttering: Considerations of sample size. Technica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Chicago, IL.

33.

St. Louis, K. O. (2012a).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 public attitude instrument for stuttering.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45(2), 129-146.

34.

St. Louis, K. O. (2012b). Male versus female attitudes toward stuttering.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45(3), 246-253.

35.

St. Louis, K. O., Reichel, I. K., Yaruss, J. S., & Lubker, B. B. (2009). Construct and concurrent validity of a prototype questionnaire to survey public attitudes toward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4(1), 11-28.

36.

St. Louis, K. O., & Roberts, P. M. (2010). Measuring attitudes toward stuttering: English-to-French translations in Canada and Cameroo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43(5), 361-377,

37.

The National Stuttering Association. (n.d.). Stutering and the Military. Retrieved from https://www.Westutter.org

38.

van Borsel, J., Brepoels, M., & De Coene, J. (2011). Stuttering, attractiveness and romantic relationships: The perception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6(1), 41-50.

39.

van Riper, C. (1982). The nature of stuttering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0.

Weidner, M. E., St. Louis, K. O., Nakisci, E., & Ozdemir, R. S. (2017). A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s stuttering of non-stuttering preschoolers in the United States and Turkey. South Afric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64(1), a178, 1-11.

41.

Woods, L. C. (1978). Does the stigma shape the stutterer?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11(6), 483-487.

42.

Woods, L. C., & Williams, D. E. (1976). Traits attributed to stuttering and normally fluent mal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9(2), 267-278.

43.

Yaruss, S. J., & Quesal, R. W. (2004). Stuttering an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An update.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7(1), 35-52.

44.

김옥란, 김완일 (2014). 군 병사의 군 생활 적응 정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5(4), 1627-1646.

45.

박혜린, 박진 (2023). 말더듬 성인의 군대 적응 정도에 대한 군지휘관의 인식 양상 및 관련 요인 분석. 말소리와 음성과학, 15(1), 55-64.

46.

박희영, 박소현, 박진(2020). 말더듬 성인에 대한 직업상담사의 직업적 조언 양상.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6(2), 147-156.

47.

이승환 (2005). 유창성장애. 서울: 시그마프레스.

48.

전희정 (2016). 말더듬는 사람에 대한 일반인의 신념과 지식:연령과 성별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3), 538-551.

49.

한미애 (2015). POSHA-S를 이용한 초등학교 고학년의 말더듬 인식.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